(Network) 데이터 통신의 기능(2)

1 분 소요

💼📝🔑⏰ 📙📓📘📒🎓

💼 주소지정

📝 주소지정 방식의 분류

  • 계층의 수
  • 부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주소 (논리주소,물리주소)
  • 같은 주소를 갖는 지국의 수 (단일지국,복수지국)
  • 주소할당 모드 (정적주소,동적주소)

📝 물리주소와 논리주소

물리주소

  • MAC 주소라고 부르며 TCP/IP의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사용,
  • 48비트를 8비트 단위로 콜론(:)으로 구분하여 16진수로 표현

논리주소

  • IP 주소라고 부르며 TCP/IP의 IP 계층에서 사용,
  • 32비트를 8비트 단위로 점(.)으로 구분하여 10진수로 표현

💼 오류제어

잡음, 고장 등의 영향에 대비하여 RER(잔류오류율:ResidualErrorRate)을 주어진 한계 이내로 유지하는 통신 기능

📝 오류제어 방식

  • 후진오류제어: 오류 검출 후 재전송 요청
  • 전진오류정정: 오류 검출 및 수정

📝 오류검출 방식

🔑 패리티 검사

  • 패리티 검사는 각각의 문자의 비트 수를 전송 전에 검사하여 패리티 비트를 포함한 전체 비트에서 ‘1’의 개수가 홀수(odd parity)나 짝수(even parity)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더해 주는 것이다.
  • 수신측은 수신된 문자에서 ‘1’의 개수를 세어 홀수 또는 짝수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.
  • 동시에 짝수개의 비트 오류가 발생할 경우 오류 검출을 못한다
  • 2차원 패리티 검사(짝수 패리티 이용)
    • 세로로도 1의 갯수가 짝수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.

🔑 검사합(Check Sum)

  • 검사합 생성기
    •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분할
    • 세그먼트들을 2진수로 간주하고 합함
    • carry bit도 합함
    • 합한 결과를 1의 보수로 만듦
  • 검사합 검사기
    • 비트열을 수신하여 세그먼트로 분할
    • 세그먼트들을 2진수로 간주하고 합함
    • carry bit도 합함
    • 합한 결과를 1의 보수로 만듦
    • 이 결과가 0이면 오류 없음

🔑 순환잉여검사(CRC)

  • 블록 단위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순환 코드(cyclic code)를 사용한 순환잉여검사(Cyclic Redundancy Check, CRC)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.
  • 프레임의 실제 내용에 의해 계산되는 FCS(Frame Check Sequence)를 프레임의 끝에 추가하여 전송하는데, FCS는 BCC(Block Check Character)라고도 한다.

📝 귀환오류제어(후진오류제어)

  • 지국사이의 역방향 채널을 이용하는 오류제어 방법

🔑 ARQ(결정귀환 방법)

  1. 정지-대기 (Stop-and-Wait)ARQ
    • 1개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기다림
    • ACK를 수신하면 다음 프레임을 송신후 기다림
    • REJ를 수신하면 처음 프레임을 재송신후 기다림
  2. 연속적 ARQ
    • 여러 개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기다림
    • Go-Back-N ARQ
      • Slidingwindow
      • REJ가 수신된 프레임 이후 부터의의 데이터 재전송
    • Selective-RepeatARQ
      • REJ가 수신된 프레임만 재전송
    • 적응적 (Adaptive)ARQ
      • 프레임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시키는 방법

📝 전진오류제어

  • 수신측에서 오류 검출 및 정정까지 할 수 있는 방식
  • 연속적인 데이터의 흐름이 필요하고 역방향 채널의 제공이 어려울 때 많이 사용

댓글남기기